2023년도 벌써 5월입니다. 점점 더워지고 있습니다. 해마다 여름이 다가오면 "올여름은 또 얼마나 더울까?" 하고 이야기를 하거나 예상하는 뉴스를 보게 됩니다. 그래서 에어컨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가전제품이 되었습니다. 집집마다 한 대씩 있던 에어컨도 이제는 가구당 방마다 한 대씩 있는 가정집도 많아졌습니다. 그럼 곧 다가올 더위를 위해 에어컨은 언제 구매해야 저렴하고 에어컨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용팁 알아보겠습니다.
♥ 에어컨 구매시기
- 에어컨 구매시기는 5월에서 7월이 대부분 최저가로 재고 상황 및 제조사 정책에 따라 상이 하기는 합니다
- 에어컨은 가격이 비싼 가전제품 중 하나이며 가격변동 또한 크기에 언제 살지 고민을 합니다. 브랜드에 따라 또 제품에 따라 가격변동 추이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없지만 대체적으로 가격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있다면 제품구매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월에서 4월에 출시 (가격이 점 점 내려가는 시기)
이 시기는 신제품이 출시되는 시기로 대부분 비싸게 출시되어 4월로 갈수록 가격이 점점 내려가는 시기입니다. 몇몇 제품은 제조사의 프로모션으로 1월에서 4월에 저렴하게 구입할 기회가 있는 모델도 있기 때문에 1월에서 4월에 구입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이런 프로모션 제품을 찾아봐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5월에서 7월이 대부분 최저가 (판매 경쟁이 제일 심한 시기)
이 시기는 대부분 제품이 출시 완료되어 판매경쟁이 제일 심해 대부분 가격이 가장 낮은 시기입니다. 5월에서 7월로 갈수록 가격변동은 심하지 않은 편이지만, 재고 부족으로 비싸질 수도 있으며, 반대로 재고가 많으면 제조사 판매정책에 따라 가격이 내려가기도 합니다.
-8월에서 12월은 보통 비싸지만 상황에 따라 가격변동이 천차만별
이 시기는 5월에서 7월 대비 가격이 비싸지는 편이지만 제품에 따라 가격변동 추이가 천차만별입니다.
- 가장 영향을 끼치는 것은 재고상황에 따른 판매정책입니다
- 재고가 적을 경우 12월로 갈수록 출시가 비싸지기도 하며, 재고가 많을 경우 가격이 유지되거나 더 저렴하게 프로모션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8월에서 12월 역시 1월에서 4월과 마찬가지로 가격이 안정화된 시기가 아니기 때문에 에어컨 구매시기는 5월에서 7월 대비 가격이 저렴한 프로모션 제품을 찾아보는 것이 최선이며 좋습니다.
♥ 에어컨 사용팁
- 전기요금과 설치비 줄이는 에어컨 사용팁
- 인버터에어컨을 사용한다면 2시간에서 3시간 외출 시 까지는 켜두는 것이 전기요금 절약 팁
- 제습모드로 놓으면 "약한 냉방 모드와 동일"합니다. 제습모드=약한 냉방모드
정확히 말하면 제습모드이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적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제습모드는 약한 냉방모드와 같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적어지는 것입니다.
- 냉방과 제습모드 이름만 다를 뿐 같은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냉방을 하게 되면 실내온도가 낮어져 '포화 수증기량' 즉, 공기가 머금는 수분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습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즉, 냉방과 제습은 항상 함께 이루어집니다. 결과적으로 제습모드를 사용하여 전기요금이 줄었다면, 설정온도를 28 ºC와 같이 약한 냉동을 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에어컨 사용팁 설치 제대로 알기
- 과다요금청구 방지와 설치불량 확인하기. 에어컨 설치비용과 설치 시 몇 가지만 확인하여 문제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진공 게이지 장비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최근 에어컨 제품은 대부분 인버터 방식이며, 이 경우 진공작업은 매우 중요합니다. 진공작업은 배관의 이물질 수분등을 제거하여 냉매가 잘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냉방효율 즉 전기요금과 냉방성능에 큰 영향을 줍니다.
- 간혹 진공작업을 하지 않거나 냉장고용 압축기 등 부적절한 장비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기에 디지털 멀티 미터기, 디지털 진공 게이지 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매립배관인 경우 질소브로윙 권장. 에어컨은 일반형과 매립배관형이 있으며 개인의 선택이 아닌 집 환경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약 매립배관형으로 설치 시 "질소브로윙"은 필수적으로 권장합니다. 질소 브로윙은 오염된 배관을 청소하는 작업으로 약 5만 원에서 10만 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하지만 하지 않을 경우 나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제 발생 시 실내기, 실외기 등 의 수리비용이 크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신축이어도 배관이 오염된 경우가 있을 수 있기에 별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 그 외 추가 설치비 항목 확인합니다. 이외에도 난타공, 배수펌프 설치, 철거, 운반비 등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다양합니다. 설치 전 한번 확인하여 어떤 요인으로 얼마 큼의 추가비용이 발생하는지 기사님과 소통하는 것은 실치비용 산정이나 설치의 신뢰도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기에 파악하는 것을 권합니다.
- 아래 표는 대표적인 설치비 항목입니다. 판매처에 따라 차이는 있습니다
항 목 | 내 용 | 가 격 |
기본 설치비 | 벽걸이 : 배관5m 스텐드 : 배관8m 멀티형 : 배관5+8m + 타공 2회, 진공작업+설치 |
대부분 무료 |
배관 연장 | 실내기와 실외기가 멀어 배관연장이 필요한 경우 | m당 1.5만원(용접 포함) |
앵글 제작/설치 | 실외기 앵글로 제작하여 설치 할 경우 | 벽걸이 :10만원 스텐드 : 12만원 멀티형 : 15만원 |
앵글 설치 | 조립되지 않은 실외기 앵글을 가지고 있는 경우 | 벽걸이 :7만원 스텐드 : 9만원 멀티형 : 12만원 |
위험 수당 | 2층 이상의 공간에 실외기를 설치 할 경우 | 벽걸이 : 3만원 스텐드 : 5만원 |
진공비 | 인버터인 경우 필수(기본설치비에 미포함 시) | 3만원 (멀티형 : 5만원) |
매립배관 용접 | 매립배관인 경우 발생 | 2만원 |
질소브로윙 | 매립배관인 경우 배관 세척이 필요할때 | 5만원 (멀티형 : 10만원) |
추가 타공 | 구멍 뚫기가 필요한 경우 | 2만원 |
가스 충전 | 새 제품 : 배관 연장 시 발생 사용제품 : 철거 시 냉매를 제거한 경우 |
구 냉매 : 3만원 신 냉매 : 5만원 |
'가전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정장애해결 김치냉장고 추천 가격비교 (0) | 2023.11.08 |
---|---|
김치냉장고에 김치 맛있게 보관하는 방법 (0) | 2023.11.08 |
삼성전자 비스포크 제트 VS20A957G3B (0) | 2022.01.04 |
에어메이드 무선청소기 THE500 + 프리미엄 AMC-4500 (0) | 2022.01.02 |
샤오미 드리미 T20 물걸레 무선청소기 진공 물걸레 겸용 (0) | 2021.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