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PTSD 검사 치료방법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질문지 ---
살면서 두려웠던 경험, 끔찍했던 경험, 힘들었던 경험, 그 어떤 것이라도 있다면, 그것 때문에 지난 한 달 동안 다음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
아니오 | 예 |
1. 그 경험에 관한 악몽을 꾸거나, 생각하고 싶지 않은데도 그 경험이 떠오른 적이 있었다. | O 0 | O 1 |
2. 그 경험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쓰거나, 그 경험을 떠오르게 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특별히 노력하였다. | O 0 | O 1 |
3. 늘 주변을 살피고 경계하거나, 쉽게 놀라게 되었다. | O 0 | O 1 |
4. 다른사람, 일상활동,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해 가졌던 느낌이 없어지거나, 그것에 대해 멀어진 느낌이 들었다. |
O 0 | O 1 |
5. 그 사건이나 그 사건으로 인해 생긴 문제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거나, 자기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원망을 멈출 수 없었다. |
O 0 | O 1 |
합 계 | 점 |
---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검사결과 ---
정상 (총점 0~1점) |
일상생활 적응에 지장을 초래할만한 외상 사건 경험이나 이와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 행동문제를 거의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
주의요망 (총점 2점) |
외상 사건과 관련된 반응으로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평소보다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추가적인 평가나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심한수준 (총점 3~5점) |
외상 사건과 관련된 반응으로 심한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평소보다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주가적인 평가나 정긴거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PTSD 치료방법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치료방법 ---
- 심리치료와 약물치료 방법
- 심리치료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심리치료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몇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지 행동 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PTSD 환자의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발견하고 변경하는 데 집중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CBT는 개인이 외상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배우게 함으로써, 공포를 완화하고 일상생활로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노출 치료(Exposure Therapy): 환자가 외상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공포나 불안에 직면하도록 만드는 치료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는 회피 행동을 버리고, 외상을 안전하게 재경 험하여 과거의 감정과 사고 패턴을 극복하는 능력을 기릅니다.
3. 안구 운동 탈감각 및 재처리(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환자가 눈 움직임과 함께 외상에 대한 정보를 재처리하는 특수한 치료법입니다. 이 방법은 불쾌한 추억에 대한 감정 반응을 줄이고, 보다 건강한 사고방식으로 대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집단 치료(Group Therapy): PTSD 환자들이 동료들과 함께 원인들과 그로 인한 문제들을 공유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들으며 서로 지지해 주는 치료법입니다. 이 방식은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치유되는 경험을 나누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들이 있고, 개별 상황과 증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것입니다. 또한, 전문가는 경우에 따라 여러 가지 치료법을 병용할 수 있으며, 심리치료와 약물 치료를 함께 진행하기도 합니다. 전문가와 상의하며 최적화된 치료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물치료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약물치료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의약품이 사용됩니다.
1. 항우울제(Antidepressants): 항우울제는 우울증 환자뿐만 아니라 PTSD 환자에게도 효과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세로토닌 재흡수차단제와 같은 종류의 항우울제는 불안, 우울, 과다 흥분성 등의 증상을 완화해 줍니다. 주로 플루옥세틴(Prozac), 새 로프트(Zoloft), 파록세틴(Paxil) 등이 처방됩니다.
2. 불안 억제제(Anxiolytics): 불안 억제제는 환자가 불안감을 느끼는 증상에 효과적입니다. 짧은 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로라제펨(Ativan), 클론아제펨(Klonopin) 등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3. 알파-블로커(Anti-adrenergic Agents): 알파-블로커는 부정적인 삶의 경험 때문에 자주 눈을 뜰 때 도움이 됩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알파-블로커인 프라조신(Prazosin)은 악몽 발생 빈도를 줄이고, 잠자리에서 깨지 않게 해 줍니다.
4. 항정신병 약물(Antipsychotics): 항정신병 약물은 중증의 PTSD 증상이나 다른 심리치료와 병용해 관리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립서도른(Risperdal), 콴티아핀(Seroquel) 등의 항정신병 약물들이 과도한 흥분성 및 회피 행동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항상 약물 치료는 전문가와 상의하고 처방을 받아 진행되어야 합니다. 단계별로 적절한 치료와 복용량의 변경이 가능하고, 약물 복용 시 부작용이 있는 경우 전문가에게 상의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물 치료의 종류와 복용량이 변경될 수 있으며, 심리치료와 함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원인 증상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PTSD 원인 증상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상황에 부딪히곤 합니다. 누구나 고난이나 스트레스를 느끼는 순간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심각한 물리적이거나 정신적인 외
everyday-review.tistory.com
'건강과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씨드 효능과 먹는 방법 (0) | 2023.10.12 |
---|---|
정신건강의학과 방문 전 마음가짐 (0) | 2023.07.16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원인 증상 (0) | 2023.07.05 |
거식증의 원인 증상 치료 알아보기 (0) | 2023.07.04 |
기면증 증상 원인 진단 치료 (0) | 2023.07.01 |
댓글